사업명 | 사업내용 | 사업대상 | |
---|---|---|---|
작업 재활 |
작업재활 |
개개인의 기능 상태에 맞춰 재활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훈련 | 작업재활 서비스 이용인 |
재활상담 |
이용인에 대한 정보교류를 통해 적절한 대처방안을 모색 | 작업재활 서비스 이용인 및 보호자 |
|
서비스 과정평가 |
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, 평가결과에 따른 재활계획 수립 | 작업재활 서비스 이용인 |
|
사후관리 |
서비스 종결인의 근황을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 안내, 참여권고 및 다양한 정보를 제공 |
작업재활 서비스 종결인 |
|
인지 재활 |
인지재활 |
개개인의 기능 상태에 맞춰 재활계획을 세우고 다양한 접근법을 이용하여 훈련 | 인지재활 서비스 이용인 |
재활상담 |
이용인에 대한 정보교류를 통해 적절한 대처방안 모색 | 인지재활 서비스 이용인 및 보호자 |
|
서비스 과정평가 |
표준화된 평가도구를 이용하여 정기적인 평가를 실시하고 평가결과에 따른 재활계획을 수립 | 인지재활 서비스 이용인 |
|
사후관리 |
서비스 종결인의 근황을 정기적으로 파악하고 복지관 프로그램에 대한
안내 및 참여권고 및 다양한 정보 제공 |
인지재활 서비스 종결인 |
|
재활 운동 |
재활 운동실 운영 |
장애인에게 운동능력 향상과 일상생활 능력 증가를 위한 운동할 수 있는 공간을 제공 | 이용인 및
보호자
|
운동처방 |
운동처방을 원하는 이용인을 위하여 체성분검사 및 체력측정을 통한 맞춤형운동처방 | ||
GX
(그룹운동) |
그룹운동을 통한 올바른 운동법을 지도하여 건강관리와 대인관계 형성을 통한 일상생활 활력 증진 |
사업명 | 사업내용 | 사업대상 | |
---|---|---|---|
가족 지원 |
가족심리 지원 |
가족 간의 기능 및 유대감 강화를 위하여 보호자와 함께할 수 있는 체험 및 심리지원 | 이용인 및 보호자 |
가족기능 강화(가족관계증진) |
가족 및 보호자의 관계 개선을 도모하기 위한 각종 체험활동 및 나들이 진행 | ||
가족교육 및 간담회 |
장애에 대한 이해 향상을 위한 재활, 교육 방법 습득 및 장애인 보호자 간의 만남을 통해 유대감 형성 |
사업명 | 사업내용 | 사업대상 | |
---|---|---|---|
직원 교육 및 개발 |
근무평정 |
직무평가, 근무평정을 통한 업무지도, 역량강화 | 직원 |
직원고충 처리 |
직원 고충처리를 위한 면담을 진행 근무환경 개선 | ||
직원교육 및 개발 |
복지관 종사자 내부, 외부교육을 통하여 직원의 전문성 향상 및 역량 강화 | ||
직원연수 |
사업 평가 및 기획, 업무 전문성 향상을 위한 직원연수 실시 | ||
슈퍼비전 |
사업의 효과성 및 효율성 재고, 실무자 소진 예방을 위한 직원 슈퍼비전 실시 | ||
사회복지 현장실습 |
예비사회복지사의 실천현장에 대한 이해와 자아형성을 위한 현장실습 진행 | 예비 사회복지사 |
|
직원문화 예술의날 활동 |
직원 간 의사소통 및 화합을 통한 즐거운 직장문화 조성을 통한 업무효율성 증진 | 직원 |
사업명 | 사업내용 | 사업대상 | |
---|---|---|---|
생활 체육 지원 |
뉴스포츠 |
후크볼, 플라잉 디스크, 패드민턴, 실내볼링 등 뉴스포츠 체험을 통한 여가활동지원 | 이용인 |
생활체조 |
장애인들에게 생활체육을 통해 신체 능력 향상과 스트레스를 줄이고 재미있고 효과적인 동작으로 신체활동능력 향상 및 건강 유지 | ||
고창장복 작은운동회 |
당구, 탁구, 보치아등의 종목으로 작은 운동회를 개최하여 이용인간의 친목을 도모하고 스포츠 활동을 통한 의욕고취 | ||
레크체육 |
레크체육을 통해 신체 능력 향상과 스트레스 경감 도모, 재밌고 효과적인 동작으로 신체활동능력을 향상 | ||
음악 활동 지원 |
난타교실 |
박자감, 리듬감 향상과 단체 활동을 통한 공동체 관계 형성의 장을 마련 | 이용인 |
기타교실 |
박자감, 리듬감 향상과 단체 활동을 통한 공동체 관계 형성의 장을 마련 | ||
노래방 운영 |
개인별 애창곡 부르기 활동을 통한 건전한 취미·여가의 기회 제공 | 이용인 및 보호자 |
|
노래교실 |
노래강사와 최신가요 배우는 시간을 통한 여가활동으로 일상활력 증진 | 이용인 |
|
고창장복 노래자랑 |
이용인의 재능과 끼를 발산할 수 있는 소통의 명분으로 노래자랑을 개최하여 스트레스 해소를 통한 신체적, 정신적 건강을 도모 | 이용인 및 보호자 |
|
평생 지원 |
스포츠 교실 |
장애인 스포츠의 흥미를 느끼게 함으로 체육 활동을 통해 신체건강증진을 도모하고 스포츠 학습의 기회 제공 | 이용인 |
스포츠 동아리육성 |
장애인스포츠 동아리 육성지원을 통한 사회성 및 대인 관계 형성을 통한 건전한 여가활동 제공 | ||
강사간담회
|
프로그램 진행 전 강사간담회를 통해 진행 계획 확인 및 프로그램 종료 후 사업 평가를 통한 프로그램 개선 사항 반영 |
강사 |
사업명 | 사업내용 | 사업대상 | |
---|---|---|---|
직업 상담 및 평가 |
직업상담 |
구직 장애인의 기초정보 수집 및 직업욕구 파악을 위한 상담 | 구직장애인 |
서비스 과정평가 |
구직 장애인의 직업적 흥미, 강점 파악 및 직업재활 방향 설정 | 훈련생 |
|
직업능력 평가 |
전라북도 내 직업재활센터에 의뢰하여 구직 장애인의 직업능력 파악 | 구직장애인 |
|
직업
훈련 | 자립상담 |
자립준비반 적응 및 자립관련 당사자, 가족 상담 | 직업훈련생 및 보호자 |
직업시설 견학 |
직업훈련생 및 보호자가 함께 직업재활 시설을 견학하고 현실적인 직업 탐색의 기회 제공 | ||
사회적응 훈련 |
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지역사회에 적응하고 독립적으로 사회생활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생활훈련 | 직업훈련생 |
|
역량개발 훈련Ⅰ (바리스타) |
바리스타 교육을 통해 바리스타 직무 능력 습득과 다양한 직무 수행으로 직업 탐색의 기회 제공 | ||
역량개발 훈련Ⅱ (식물재배) |
식물재배를 통해 직업 체험의 기회를 제공하고 파종 및 농업 기술 습득 | ||
직업훈련 |
직업기능향상을 위한 작업 활동 제공 직업준비적응 : 직업인식, 직업탐색, 구직행동, 구직기술, 직업과 관련된 사회적·직업적 행동 등 직업 준비와 관련된 훈련 작업기술훈련 : 다양한 작업기술 습득, 작업수행능력 향상 대인관계형성 : 원활한 대인관계 형성을 위한 사회성향상 훈련 자치회의 : 직업 준비생의 의견 수렴 및 욕구 파악 |
||
자립캠프 |
훈련을 통해 습득한 일상생활 및 사회적응 기술을 2박 3일 자립캠프에 적용하여 자립생활능력 향상 | ||
취업
관리 | 취업연계 |
구직 장애인의 흥미 및 직업능력을 고려한 취업알선 | 구직장애인 |
취업연계 |
취업 후 전화와 방문 상담으로 안정적인 직장생활 유지 도모 | 취업장애인 |
|
전환기
교육 | 학령기 전환기 교육 |
고등 학령기에 있는 장애인을 대상으로 전환교육을 통한 직업군 이해와 졸업 후 자립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교육을 통해 사회생활로의 전환 촉구 |
학령기 전환기장애인 |
사업체
관리 | 업체개발 |
장애인 고용에 관심을 갖고 있는 사업체를 대상으로 정보수집 | 사업체 |
사업체 관리 |
개발된 업체를 대상으로 구인 정보 습득 및 취업알선 | ||
가족
간담회 | 가족 간담회 |
보호자를 대상으로 간담회를 진행하여 보호자의 의견을 듣고, 반영해 준비반 운영 및 준비생 지도 | 보호자 |
[56442] 전라북도 고창군 고창읍 전봉준로 88-9 전화 : 063-562-3777 팩스 : 063-562-3778 이메일 : gdwc@daum.net, Copyright © 2017 고창군장애인복지관All rights reserved. 홈제작 www.fivetop.co.kr |
![]() |